블로그편
- 제목: 명확하고 간결하게 (과도한 특수문자 금지)
참고 : 검색어를 고려한 블로그 글쓰기
네이버의 검색알고리즘은 공개가 다 되어 있지 않지만...
아래 2개가 중요한 것 같다.
먼저
C-RANK
- 출처의 신뢰도 분석
- C랭크 알고리즘 중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,
맥락 (포스팅 주제와 해당 블로그와 맥락을 같이 하는가 -> 같은 주제로 포스팅해야함)
내용 (좋은 내용이 담겨 있나)
연결 (사용자가 들어와서 계속 보는지, 재방문, 좋아요, 댓글 , 체류시간 등등) 인 것같다. 그러나 네이버 라이브 검색과 블로그 검색은 다르다고 하며, 신뢰도와 인기도 차원에서는 컨텐츠의 질을 좋아요 댓글 등 반응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겠다는 것이 핵심인듯 하다...
- 참고 자료 : https://blog.naver.com/naver_search/220774795442
D.I.A. (다이아, Deep Intent Analysis)
- 문서의 정보성 분석
- 문서의 주제 적합도, 경험 정보, 정보의 충실성, 문서의 의도, 상대적인 어뷰징 척도, 독창성, 적시성 등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반영
- DIA도 결국은 신뢰할만하고 깊이 있는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것
참고: https://blog.naver.com/naver_search/221297090120
D.I.A.+
- 아래 그림에서 매우 복잡하고 어렵게 설명되어 있다만...
- 결국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검색어에 맞게 결과를 보여주겠다는 것
- 예를 들어, 미용실 염색 비용 이라고 검색하면 실제로 비용 정보가 포함된 것을 우선해서 보여주겠다는 것인데 .... 실제로 그렇게 잘 작동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.
UGC(user-generated content)
참고,
- 2020년 발표 된 네이버 문서확장 기술에 따르면 꼭 일치하지 않는 단어라도 알고리즘이 연관이 있다고 판단하면 검색결과에 띄워줌
참고,